행사 상세 정보 :
갤러리초이(대표 김미경)가 합정동에서 2025년 3월 29일 토요일부터 4월 29일 화요일까지
38회 허진개인전 < 오라, 나의 영토로_Come To My Territory >를 개최한다.
(*오프닝은 3월29일 토요일 오후5시)
또한 이번 전시는 갤러리초이가 기획하고 DB금융투자가 초대 후원한 전시가 강남 DB금융투자 ‘DB알파플러스클럽’에서 2025년 4월 29일 까지 같은 전시명으로 동시에 열린다.
이번 전시에서는 갤러리초이와 DB알파플러스클럽에 각각 새로운 신작을 포함 15점씩 총 30점을 선보인다
[전시소개]
그 어떤 시대를 존재한 인간 일지라도 생애에서 존재론적 불안과 실존적 고독에 직면 하였을 것이다.
우리 인간은 불안을 극복하고 내면적 성장을 이루기 위한 자아성찰과 자기존중의 경험이 자신만의 가치를 만들어 왔을 것이고, 인류의 끊임없는 발견과 발전이 현재의 우리들로 살아가게 된 배경이었고 고유한 인간으로 히스토리로 자리하고 있다.
화가 허진 또한 실존의 끊임없는 요구 속에서 화맥의 삶으로 당당히 가고 있다.
조선말 선비화가로 소치 허련, 미산 허형, 남농 허건의 도도한 맥을 이어가는 화가 허진은 전통수묵화의 본류이자 계승자로서 새롭게 자신만의 물결을 찾고 자리 잡아야 했음이 그대로 보여진다. 그것은 시대상을 담은 새로운 담론인 동시에 선친들의 전통의 계승과 전위적 혁신의 경계 속에서 내려진 허진의 선택과 그 향방 이었다.
1900년도 말 동양화의 탈속적이고 고립적인 화면에 대한 질타와 외침으로 ‘묵시’ 시리즈로 출발한 화가 허진의 첫 개인전은 우리 한국화의 어떤 경향에도 치우쳐지지 않고 주도적이고 독창적인 자기색깔로 그 첫 발을 내디뎠다.
땅끝마을 진도의 운림산방 기운은 말로 평가를 할 수 없을 정도로 대단하고 아름답다고 평가 하고 싶었다. 그의 화면은 우리 고유의 정체성을 버리지 않고 사회성과 역사성을 회피하지 않으며 인간군상들 그리고 자연의 외침들을 잘 표현한 실험적 담론들이었기고, 우리 미술사의 전환과 그 경계지점이기에 한국 미술사적 그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영화를 좋아하는 그에게 모든 영화는 무성영화이다. 그래서일까? 그에게는 음성적 소리의 소통보다 이미지를 통해 그 언어를 소통의 의도와 의미를 압축해내는 능력이 탁월하다.
그의 작업들, 인간 내면의 무의식의 형상화 <다중인간>(1993), 현대사회의 부조리, 소외, 아이러니에 대한 풍자 <익명인간>(1998), 각종 동물의 개입으로 인한 조화로운 생태론의 모색 <익명동물>(2000), 진정한 인간성 회복의 담론 제시 <유목동물>(2006) 등에 이르기까지 허진은 역사성을 표면상 전면에 내세우지 않고, 인간 그리고 자연 발전하는 문명에 대한 관계적 해석을 모색하고, 이들 형상적 융합을 통한 스토리텔링을 하고 있다. ‘이종융합동물+유토피아’에 이르러서는 그가 오래 전부터 침잠했던 노마드 개념을 확장시키고 있다.
이번 전시 ‘오라 나의 영토로’의 주제처럼 흔치 아니한 남다른 화맥을 이어온 그의 소명을 다시 확인하고자 이 주제로 다시 화가 허진을 바라보고 그의 선친들을 기려보고자 한다.
시간의 흐름으로 의식의 흐름도 흘러간다. 수많은 점을 찍어가는 수행에서 그가 추구하는 실존적인 근원에 대한 물음이 깊어질 때, 감정의 흐름 또한 정신의 응결로 그 힘을 다해갈 것이기에. 화가 허진의 서사적 풍경은 존재적 진실을 품고 있는 시적 풍경으로 아로새겨질 것이다.
[작가소개]
허진 (b.1962)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와 같은 대학원을 졸업했다. 1990년 개인전 <묵시>로 등단한 이후 개인전 37회를 열고, 단체전 600여 회에 참가했다. 대한민국미술대전 특선, 제1회 한국일보 청년작가 우수상, 2001 오늘의 젊은 예술가상(문화관광부), 제19회 허백련미술상 본상, 용봉학술상 등을 수상했으며 전남대학교 예술대학 학장 및 미술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